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He 51

덤프버전 :

파일:hik_2.png
[ 하인켈 항공기 목록 ]


||<-2><tablewidth=100%><bgcolor=#315288> 민항기 ||
||<colbgcolor=#eee8aa,#000000> 단발기 ||He 70 ‧ He 58 ||
|| 쌍발기 ||He 111 ||
|| 3발기 || ||
|| 4발기 || ||
||<-2><bgcolor=#000000> 군용기 ||
|| 전투기 ||He 100He 112He 51 ‧ He 49 ‧ He 219 ||
|| 폭격기 ||He 111He 177He 274He 277 ||
|| 급강하폭격기 ||He 50He 118 ||
|| 제트기 ||He 162He 178He 280He 343 ||
|| 수송기 ||He 70 ‧ He 111 ||
|| 연락기 및 수상기 ||He 1 ‧ He 49 ‧ He 51 ‧ He HD 55 ||
|| 훈련기 ||He 172 ‧ He 42He 46 ||
||<-2><bgcolor=#000000> 수직이착륙기 ||
|| VTOL ||레르헤 ||
||<-2><bgcolor=#dedede,#202020> 취소선: 프로토타입 및 페이퍼 플랜 기체들

※ 제조사별 항공기 둘러보기 ||





✈️ 항공병기 둘러보기
⠀[ 현대 1991~ ]⠀

북미 파일:미합중국 공군 라운델.svg
미 공군 | 미 해군
파일:캐나다 공군 라운델.png
캐나다
파일:멕시코라운델.png
멕시코
중미/카리브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공군 라운델.svg
도미니카 공화국
파일:쿠바 라운델.svg
쿠바
파일:엘살바도르 공군 라운델.svg
엘살바도르
파일:온두라스 공군 라운델.svg.png
온두라스
남미파일:브라질라운델.png
브라질
파일:우루과이 공군 라운델.svg
우루과이
파일:아르헨티나 공군 라운델.svg
아르헨티나
파일:칠레라운델.png
칠레
파일:볼리비아 공군 라운델.svg
볼리비아
파일:파라과이 공군 라운델.svg
파라과이
파일:페루 공군 라운델.svg
페루
파일:에콰도르 공군 라운델.svg
에콰도르
파일:콜롬비아 공군 라운델.svg
콜롬비아
파일:베네수엘라 공군 라운델.svg
베네수엘라
서유럽파일:영국 공군 라운델.svg
영국
파일:프랑스 항공우주군 라운델.svg
프랑스
파일:네덜란드 라운델.svg
네덜란드
파일:2000px-Roundel_of_Belgium_svg.png
벨기에
파일:아일랜드 라운델.svg
아일랜드
파일:룩셈라운델.svg.png
룩셈부르크
중부유럽파일:독일 공군 라운델.svg
독일
파일:폴란드 공군 라운델.svg
폴란드
파일:체코 공군 라운델.svg
체코
파일:슬로바키아 국장.svg
슬로바키아
파일:스위스 공군 라운델.png
스위스
파일:오스트리아 라운델.svg
오스트리아
파일:헝가리 공군 라운델.png
헝가리
남유럽파일:이탈리아 공군 라운델.svg
이탈리아
파일:스페인 공군 라운델.png
스페인
파일:포르투갈라운델.png
포르투갈
파일:그리스 공군 라운델.svg
그리스
파일:루마니아 공군 라운델.svg
루마니아
파일:불가리아 공군 라운델.svg.png
불가리아
파일:슬로베니아군 라운델.svg
슬로베니아
파일:크로아티아군 라운델.svg
크로아티아
파일:세르비아 라운델.svg
세르비아
파일: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공군 라운델.png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파일:몬테네그로 공군 라운델.svg
몬테네그로
파일:북마케도니아군 라운델.svg
북마케도니아
파일:알바니아 공군 라운델.svg
알바니아
파일:아르헨티나 공군 라운델.svg
키프로스
파일:튀르키예 공군 라운델.svg
튀르키예
파일:세르비아 몬테네그로 공군 라운델.svg
신유고 연방
북유럽파일:스웨덴 공군 라운델.svg
스웨덴
파일:노르웨이 공군 라운델.png
노르웨이
파일:덴마크 공군 라운델.svg
덴마크
파일:핀란드 공군 라운델.svg
핀란드
동유럽파일:러시아 공군 라운델.svg
러시아
파일:우크라이나 공군 라운델.svg
우크라이나
파일:러시아 공군 라운델(1943-1991–2010).svg
벨라루스
파일:몰도바 공군 라운델.svg
몰도바
파일:바그너 그룹 로고.svg
바그너 그룹
동아시아파일:대한민국 국군 라운델.svg
대한민국
파일:항공자위대 라운델.svg
일본
파일:중국 인민해방군 공군 라운델.svg
중국
파일:대만 국장.svg
대만
파일:북한 공군 라운델.png
북한
파일:몽골 공군 핀 플래시.svg
몽골
동남아시아
파일:태국 공군 라운델.svg
태국
파일:베트남 공군 라운델.png
베트남
파일:말레이시아 공군 라운델.svg
말레이시아
파일:싱가포르 공군 라운델.svg
싱가포르
파일:인도네시아라운델.png
인도네시아
파일:필리핀 공군 라운델.svg
필리핀
파일:브루나이 공군 라운델.svg.png
브루나이
파일:미얀마 라운델.svg
미얀마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50px-Royal_Cambodian_Air_Force_roundel.svg.png
캄보디아
파일:라오스 공군 라운델.svg
라오스
중앙아시아
파일:카자흐스탄 공군 라운델.svg
카자흐스탄
파일:우즈베키스탄 공군 라운델.svg
우즈베키스탄
파일:러시아 공군 라운델(1943-1991–2010).svg
타지키스탄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20px-Roundel_of_the_Air_Force_of_Kyrgyzstan.svg.png
키르기스스탄
파일:투르크메니스탄 공군 라운델.svg.png
투르크메니스탄
남아시아파일:인도 해군 라운델.png
인도
파일:파키스탄 라운델.png
파키스탄
파일:방글라데시 라운델.png
방글라데시
파일:스리랑카 공군 라운델.svg
스리랑카
파일:네팔 육군항공대 라운델.svg
네팔

아프가니스탄 (~'21)
서아시아파일:조지아 공군 라운델.svg
조지아
파일:아르메니아 공군 라운델.svg
아르메니아
파일:480px-Roundel_of_Azerbaijan.svg.png
아제르바이잔
파일:이스라엘 공군 라운델.svg
이스라엘
파일:이란 라운델.svg
이란
파일:이라크 공군 라운델.svg
이라크
파일:쿠웨이트 공군 라운델.svg
쿠웨이트
파일:시리아 공군 라운델.svg
시리아
파일:레바논 공군 라운델.svg
레바논
파일:요르단 공군 라운델.svg
요르단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공군 라운델.svg
사우디아라비아
파일:아랍에미리트 공군 라운델.svg
아랍에미리트
파일:카타르 공군 라운델.svg
카타르
파일:480px-Roundel_of_Bahrain.svg.png
바레인
파일:오만 공군 라운델.svg.png
오만
파일:예멘 라운델.svg
예멘
오세아니아
파일:호주 공군 라운델.svg
호주
파일:뉴질랜드 공군 라운델.svg
뉴질랜드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20px-Papua_New_Guinea_roundel.svg.png
파푸아뉴기니
북아프리카
파일:이집트 공군 라운델.png
이집트
파일:리비아 공군 라운델.svg
리비아
파일:튀니지 공군 라운델.svg
튀니지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00px-Algeria_A-F_Roundel.svg.png
알제리
파일:모로코 공군 라운델.svg
모로코
파일:자유 리비아 공군 라운델.svg
자유 리비아 (~'11)
동아프리카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600px-Roundel_of_the_Sudanese_Air_Force.svg.png
수단
파일:에티오피아 공군 라운델.svg
에티오피아
파일:지부티 공군 라운델.svg
지부티
파일:소말리아 공군 라운델.svg
소말리아
파일:케냐 공군 라운델.svg
케냐
파일:탄자니아 공군 라운델.svg.png
탄자니아
파일:모잠비크 공군 라운델.svg
모잠비크
파일:우간다 공군 라운델.svg
우간다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600px-Roundel_Rwanda.svg.png
르완다
파일:마다가스카르 공군 라운델.svg
마다가스카르
파일:코모로 공군 라운델.svg.png
코모로
서아프리카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400px-Roundel_of_the_Nigerian_Air_Force.svg.png
나이지리아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280px-Roundel_of_the_Senegalese_Air_Force.svg.png
세네갈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20px-Roundel_of_the_Niger_Air_Force.svg.png
니제르
파일:말리 공군 라운델.svg
말리
파일:기니 공군 라운델.svg
기니
파일:모리타니 공군 라운델.png
모리타니
파일:가나 공군 라운델.svg
가나

토고
중아프리카
파일:차드 공군 라운델.svg
차드
파일:카메룬 공군 라운델.svg.png
카메룬

가봉
파일:콩고 공화국 공군 라운델.svg
콩고 공화국
파일:콩고민주공화국 공군 라운델.svg
콩고민주공화국
파일:앙골라 공군 라운델.svg
앙골라
남아프리카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공군 라운델.svg.svg
남아공
파일:보츠와나 공군 라운델.svg
보츠와나
파일:나미비아 공군 라운델.svg.png
나미비아
파일:레소토 공군 라운델.svg
레소토

잠비아
파일:짐바브웨 공군 라운델.svg
짐바브웨

⠀[ 제트전투기의 계보 ]⠀



파일:He 51.jpg

1. 개요
2. 탄생 배경
3. 생산과 일선 배치
4. 스페인 내전에서 데뷔
5. 실전에서
6. 형식



1. 개요[편집]


전간기 나치 독일에서 등장하여 스페인 내전제2차 세계 대전까지 사용된 복엽 전투기.


2. 탄생 배경[편집]


하인켈 He 51은 전간기 독일 공군이 처한 특수한 상황이 낳은 복엽 단좌 전투기로, 나치가 정권을 잡은 독일이 재무장을 선언한 직후 신생 루프트바페 최초의 주력 전투기가 되었다. 1차 세계대전에서 패한 독일군은 항공기의 보유와 운용이 금지당했었다. 따라서 하인켈 사는 로스토크에 있는 공장에서 스포츠기라는 명목으로 전투기를 개발하고 프로토타입을 만들었다. 하인켈 사는 HD37, HD38, HD43에 이어 1931년에는 튀링겐 출신의 쌍둥이로 항공기 설계에 뛰어난 재능을 지닌 귄터 형제를 새로이 영입하여 불과 1년 만에 높은 잠재 능력을 품은 복엽 전투기 He 49a를 개발했다.

그즈음, 1933년에 설립되어 공군 재건을 추진하던 제국 항공성은 He 49a에 주목하고 여기에 개량을 더한 He 51의 개발을 추진했다. He 51은 이미 생산되어 배치된 아라도 Ar 65를 대신하는 주력기로 예상됐다. 1933년 항공성은 선전 기체의 명목으로 He 51A를 발주하기에 이른다. 1935년 3월 1일, 독일이 재무장 선언을 하자 He 51A는 신생 독일 공군의 주력 전투기로 대대적으로 선전되었다.


3. 생산과 일선 배치[편집]


He 51A에 대한 조종사 들의 평가는 Ar 65에 비해 조종이 어렵고, 속도는 빠르지만 기동성이 떨어진다는 것이었다. 다루기 쉽고 조종이 편한 Ar 65에 익숙한 조종사들은 He 51A의 취급에 고생했다고 한다. 그러나 정작 문제는 기체의 성능이 아니라 조종사 훈련인 것으로 밝혀져 He 51A의 생산은 계속되었다. 선행형 He 51A에 뒤를 이어 낙하식 연료탱크를 추가한 장거리형 He 51B와 10kg 폭탄 6발을 탑재할 수 있는 랙을 추가한 전투 폭격기형인 He 51C도 만들어졌다. 1936년 10월 생산이 종료될 때까지 이 복엽 전투기는 458대가 생산되었다. 또한 플로트를 설치한 수상기형 He 51B-2도 해군에 납품되었으나 이때는 이미 복엽기는 구식화된 이후여서 공군 원수 헤르만 괴링독일 해군에 대한 유화성 제스쳐 이상의 의미는 없었다. 46대가 만들어진 이 수상기 버전은 순양함이나 포켓전함 같은 함선에는 거의 탑재되지 않고 근해 초계 임무에만 투입되었으나 엄연히 초기 독일 해군의 주력 정찰기이자 초계기, 전투기였다.


4. 스페인 내전에서 데뷔[편집]


파일:He 51 갈란트.jpg

스페인 내전에 참가한 아돌프 갈란트의 He 51C

프로파간다를 통해 대대적으로 선전된 He 51이었으나 그 실체는 이미 구식이 된 지 오래인 파라솔 윙의 복엽기에 불과했고, 무장도 1차 대전의 전투기와 같은 기관총 2정에 속도도 시속 330km로 같은 시기 다른 나라의 복엽 전투기와 비교해도 별다를 것이 없었다. He 51은 아무것도 특별히 뛰어난 점이 없는 평범한 복엽 전투기의 하나일 뿐이었다.

스페인 내전이 발발하자 독일은 이에 개입하고 1936년 7월에는 신속히 6대의 He 51A를 보냈다. 먼저 팔랑헤군 조종사가 이 기체를 몰고 공화국군의 구식 기를 여럿 격추하는 전과를 올렸다.

스페인 내전의 탑 에이스이자 복엽기 탑건인 호아킨 가르시아-모라 토는 이 내전에서 이탈리아제 CR.32 전투기를 몰며 비공인 기록이지만 40대 격추로 누구도 따라올 수 없는 격추 기록을 세웠는데, 그중 4대는 He 51로 거둔 것이다. 17대의 격추 기록을 세워 공동 2위에 올라있는 아리스티데스 가르시아 로페즈도 3대는 하인켈 복엽 전투기로 격추한 전과였다. 그 밖에도 쥴리오 살바도르 디아즈-벤주미, 앙헬 살라스 라르자발, 바스케즈 마뉴엘, 그리고 콘도르 군단의 베르너 묄더스아돌프 갈란트 같은 스페인 내전의 쟁쟁한 에이스들은 거의 모두 He 51를 몰아 본 경험이 있었다.


5. 실전에서[편집]


그 후로도 He 51 들이 차례로 배치되면서 11월에는 콘도르 군단에 4개 중대(48대)의 He 51로 구성된 제88 전투 비행대대(J/88)가 편성되었다. 구식기들이 투입된 스페인 내전 초기에는 꾸준히 전과를 올리던 He 51이었으나, 공화국 측이 소련에서 폴리카르포프 I-15를 도입하자 금세 약점을 노출하게 된다. I-15은 속도와 기동성, 무장까지 뛰어나 He 51은 고전했다. 구식 폭격기들도 당대 최강으로 평가받던 투폴레프 SB들로 재편성되었는데, 이 쌍발 폭격기는 독일의 복엽 전투기보다 최소한 110km/h는 더 빨라 거의 요격이 불가능했다. 콘도르 군단의 주력 폭격기인 융커스 Ju 52보다 두 배나 빠른 이 고속 폭격기를 격추하려면 미리 고공에서 매복해 급강하 기동으로 속도를 붙인 다음에야 겨우 한 번의 공격 기회를 가질 수 있었다.

여기서 더 나아가 단엽 날개에 인입식 착륙장치까지 갖춘 폴리 카르포프 I-16까지 등장하자 He 51은 도저히 당해낼 도리가 없었다. 이 때문에 독일 공군은 최신예기 Bf 109의 투입을 서두르게 된다. 공중전에서 이길 가망이 없어진 He 51은 근접 지상 지원 임무에 사용되었는데, 오히려 이 측면에서 적지 않은 전과가 있었다. 루프트바페에서 근접 지원의 중요성을 역설하며 지상 공격 전술을 고안했던 볼프람 폰 리히트호펜[1] 대령은 콘도르 군단에서 근무하던 시절, 휘하의 He 51을 능수능란하게 지휘하며 공화국 육군을 공포에 떨게 했다. 스페인 내전을 통해 He 51은 각 형식 합계 135대가 공급되었고 46대가 살아남았다.

독일 본국에서는 Ar 68 및 Bf 109가 도입되기 시작하자 He 51은 서서히 2선급으로 물러나며 훈련기로 사용되었다. 하지만 훈련기로 사용되던 He 51들은 2차 대전이 개전하자 후방에서 파르티잔에 대한 전술 공격기로 다른 낡은 기체들과 함께 투입되기도 했고 잉여 기체들은 불가리아 공군에 군사 원조물자로 함께 보내지기도 했다.

1940년 3월 시점에서도 상당수의 He 51이 남아있었는데, 이 복엽 전투기가 정확히 언제 모두 퇴역했는지는 루프트바페의 기록에도 남아있지 않아 확신할 수는 없으나, 몇몇 파일럿들의 증언을 참고하면 2차 대전 개전 후 3년이 지난 뒤에도 훈련기로 사용 중인 낡은 기체를 목격한 예가 있다고 하니 적어도 후방에서는 오랜 기간 남아있었던 셈이다. 1944년 1월의 기록에는 35대의 기체가 비행학교에 남아있었다 한다.


6. 형식[편집]


  • He 51A-0 : 프로토타입 기체.

  • He 51A-1 : 초기 양산형으로 75대 생산.

  • He 51B-0 : A-1의 강화형.

  • He 51B-1 : B-0의 양산형으로 계획되었으나 12대만 제작됨.

  • He 51B-2 : 수상기 버전. 단좌 수상정찰기 및 전투기형으로 46대 생산. He 51W, He 51B-2W라는 제식 명칭으로도 불렸다.

  • He 51C-1 : 폭탄 랙을 추가한 지상 공격기 버젼으로 거의 대부분이 스페인 내전에 투입된 콘돌 군단에 인도됨. 50kg 폭탄 4기 탑재.

  • He 51C-2 : C-1에 무전기를 추가한 개량형으로 21대가 생산되어 스페인에 보내졌다.


[1] 1차 대전의 톱건 에이스인 붉은 남작의 사촌동생이다.